미학/기술(공학), 과학, 철학
-
[과학자에게 보내는 철학 서신] 1-1 과학의 거울,미학/기술(공학), 과학, 철학 2022. 9. 26. 17:37
출처: [BRIC Bio통신원] [과학자에게 보내는 철학 서신] 1-1 과학의 거울, 과학철학 ( https://www.ibric.org/myboard/read.php?Board=news&id=306944 ) 과학의 힘, 과학의 가치 그리고 과학철학 모두가 과학을 주목한다. 과학자가 아니더라도 그렇다. - 과학을 경제발전의 도구로 보든(박정희 이후 한국의 주류), - 서방의 세계 지배를 가져온 힘의 원천으로 보든(많은 비 서구 지식인들), - 인류의 자연 지배를 가져왔고 더욱 확장시킬 수 있는 힘의 근원으로 보든(베이컨 이래의 다수 철학자들), - 계몽의 과업을 완성시켜 사회를 재조직할 핵심 원리로 생각했든(콩트 이후의 다수의 실증주의자들), - 사회의 다른 분야에게 일종의 모범을 보여줄 수 있는 하나의..
-
메타버스미학/기술(공학), 과학, 철학 2022. 9. 12. 23:43
추 출처: 메타버스와 메타피직스의 영화적 순환* 심 광 현** 한국예술종합학교 영상이론과 교수 - 메타버스 시스템 = 초연결 사회의 촉매 - 메타버스의 핵심은 ‘몰입 도’에 있다고 보지만 인지생태학적으로 보면 한 장의 그림이나 사진의 몰입도는 ‘재현의 정확성’보다는 그것이 주는 메시지의 맥락적 연결성에 달려 있다는 점을 환기해 보면 정확한 판단은 아니다. - 이런 맥락에서 볼 때 메타버스의 진정한 잠재력은 새로운 자연적-사회적-기술적 짝패 구조의 형성 속에서 활성화될 인간 뇌의 다중지능적 연결 능력(증강-시 뮬레이션, 외부-내부의 교차)의 변화라는 인지생태학적인 맥락에서 파 악할 필요가 있다. - 자연이 곧 우주이기에 ‘메타버스’는 ‘메타피직스’의 현대적 표현이 된다. 따라서 플라톤 이후 근대까지 서구 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