연구
-
(0) 과학 논문의 구조연구/프로세스 2022. 8. 20. 19:34
ㅁ 과학의 논문 구조를 시각화하면 모래시계 shape를 띄고 있다. 1. Introduction : 왜 연구를 했는지? Research Question은 무엇인지? knowledge gap에 대한 간단한 설명 (가설을 검증했을 수도 있고 새로운 방법을 제안했을 수도 있음. 그래서 새로 찾으려 하는 knowledge가 무엇인지.) 2. Method: 그래서 무엇을 구체적으로 어떻게 했는지? 3. Results: 결과적으로 무엇을 찾았는지? 새로운 knowledge가 무엇인지? 4. Discussion: 그 결과는 무엇을 의미하는지? ㅁ 나머지 Lit Review(관련 연구), Conclusion(결론)은 논문의 핵심은 아니고 보완 역할 정도. - Lit Review: Introudction에서 간단하게 요..
-
2022.06.18연구/개발 작업 일지 2022. 6. 18. 18:59
깨달음 계획에서 중요한 것은 솎아내기 . 진짜와 적폐를 구분할 것. 적폐에 기만당하는 순간 무기력과 방황의 시작. 자기 철학 소신을 더 갈고 닦아야 함. 계획을 짠 순간에는 복심 시도량. 복심시도량 = 마음을 엎드리는것이 도량이다. 엎드린마음(복심)이 곧 정신의 도량(절)이다. 모든 법을 바르게 관하기 때문에. 엎드린 마음 의미: 자기를 포기. 즉, 무시. 내 생각을 주장 X. 그게 곧 수행하는 자리. 나의 생각을 주장하지 않는 마음이 수행을 하는 도량이다. 상대를 사랑해야 한다. 누군가를 사랑해본 사람은 안다. 내 생각을 무시하고 그의 생각을 알고자할 때 얼마나 행복한지 내 기준에 맞춰. 이게 사랑이야? 정말 사랑하면 땅콩 알레르기 일어나도 그 식당 간다. 헌신? 자기를 내려놓는게 얼마나 행복한지 알..
-
클라우드 환경에서 기본적인 Task Scheduling 정책들 - (1) FCFS연구/VM 배치문제 2022. 3. 27. 18:36
ㅁ 클라우드 환경에서 기본적인 Task Scheduling 정책들 1. First Come First Serve (FCFS) 2. Round Robin Algorithm (RR) 3. Shortest Job First (SJF) 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 1. First Come First Serve (FCFS): CloudSim의 디폴트 알고리즘 - standalone PC 에서 FCFS : non-preemptive 방식으로 프로세스가 CPU잡으면 끝날때까지 안 놓아줌. 먼저 온 프로세스가 CPU 잡음. 얼리버드가 일찍 벌레 잡아먹듯이..
-
3) Chowdhury et al. (2015) : Power-Aware Worst-Fit Decreasing연구/VM 배치문제 2022. 3. 21. 10:40
Beloglazov et al. (2014) : Power Aware Best-Fit Decreasing 와는 정반대이다. 자칫 반직관적일 수 있는데, Best Fit은 순간적으로 에너지 소모량이 가장 적은 PM에 배치하는 그리디 휴리스틱한 알고리즘이기 때문에 local optimum에 빠질 수 있어서 전체적인 미래 관점에서는 나쁜 선택일 수도 있다. 그래서 정반대의 Worst fit 방식은 local optimum에 벗어 날 수 있어서 Best fit보다 더 성능이 좋을 수 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