연구
-
2) Beloglazov et al. (2014) : Power Aware Best-Fit Decreasing연구/VM 배치문제 2022. 3. 21. 10:17
- heterogeneous scenario에서도 잘 동작. 각 PM이 소모하는 파워를 모델링하여 특정 time fragment 동안 적분함으로써 소모하는 에너지를 모델링함 - The PABFD algorithm, designed for the same OpenStack framework, uses the estimated power utilization of servers for the current VM [18] - 단점: 에너지 모델이 부정확함. 심지어 정반대의 접근방식인 "Chowdhury et al. (2015) : Power-Aware Worst-Fit Decreasing"이 실험결과 더 성능이 좋게나옴. Their experiment shows that PAWFD has better perf..
-
연구란 무엇인가연구/태도 2021. 8. 16. 07:14
구글링해서 나오는건 연구가 아니다. 새로운 지식을 만드는게 연구다. 출처: [1] https://www.slideshare.net/minhpqn/research-methods-for-engineering-students-v2020 [2] https://slideplayer.com/slide/4820161/ - resarch란건 내가 모르는걸 찾는것인가? - 너무 광범위하면서 협소한 정의: Resarch란 내가 모르는것을 찾는것이 아니라, 내가 모르는걸 찾는것이다. (?!) - 아무튼간에 information gathering은 research가 아니다. 이미 답이 정해진 질문에 대해서 스스로 답하기 vs. 답이 아직 정해지지 않은 질문에 대해서 답하기 topic은 오로지 개인적인 것이어야 한다. 다른 사..
-
1. 연구 문제 설정 및 문제 진술연구/프로세스 2021. 8. 16. 06:36
연구문제선정 이론적 기틀 작성 - 이론적 기틀이 없는 연구: 연구 결과가 어떤 현상을 설명, 예측 통제하지 못함. - 실험연구: 이론을 현장에서 검증, 가설 검정 형태 - 이론적 기틀 내에서 연구 문제 제시 가설 설정/ 문제 진술 - 문제 진술 : 연구할 현상 서술 예) 한국 청소년의 건강행태는 어떠한가? - 질문(의문문) 형식으로 분명하게 진술할 것. 연구자가 자신의 연구문제를 명료하게 구성하기 어렵다. > 보통 추상적인 의문의 상태에 머무는 경우가 많다. > 문제해결에 대한 지나친 의욕이 앞서 무엇이 문제인지 조차 명확하게 규정하지 않은 채 조사부터 시작하는 경우가 많다. > 조사 연구를 위해 적절한 의문을 찾는 과정은 조사 연구의 전체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일이며, 조사 연구의 모든 과정이 연구문제와..
-
Research Problem Statement연구 2021. 8. 16. 06:23
Research Problem Statement(연구 문제 진술) - 문제에 대한 명료한 설명 + evidence (문제가 존재한다는 증거) - Major concept과 term에 대한 Defintion과 Explanation (어떻게 하면 잘 설명할 수 있지? 구성주의식으로 질문 엮기?) - Probable causes related to the problem (제거되어야할 어려움, 원인을 쫓다보면 근원에 도달하게 됨) - 조건 (condition)과 specific and feasible statement